곰팡이가 피는 실내거주 공간의 곰팡이 대책
곰팡이제거 및 작업준비 |

|
1. 염소계 표백제 락스(클로락스)을 이용하여 곰팡이를 제거할 것. 2. 전문가용 강력형 락스(예; 스칼프, 기타)를 사용할 시에는 보호장구를 필히 착용하고, 사용상의 주의와 사용위험을 숙지하고 작업을 시작할 것. 3. 바탕배지의 색깔을 표백하지 않고 그대로 살리고자 할 경우에는 산소계 표백제인 옥시클린을 이용할 것. 4. 벽지위에 곰팡이가 핀다면 벽지아래에도 곰팡이가 피어있음. 벽지를 제거하여야 함. |
내벽방수 (준필수) |

|
1. 외벽방수제가 아닌 내벽방수제 (예; 드라이라크 혹은 댐프라크)을 사용하여 방수작업을 할 것. 2. 표면의 이물질을 모두 세척하고, 기존 페인트도 모두 끍어 내고, 시멘트에 백화가 피었다면 백화제거제로 제거 할 것. 3. 시멘트의 손상-크랙, 구멍, 틉새 등을 몰탈수리제로 수리할 것 4. 제품사용법에 따라 칠을 할 것 ( 페인트 도장과 유사) 5. 방수내압 수압이 최고 10m수두 (1Kgf/cm2, 15psi) 정도의 내벽방수제를 사용할 것. |
결로방지 (필수) |

|
1. 최근 단열재의 종류와 공법이 많이 출시되고 있음. 가장 적합한 단열재(예; 이보드)로 단열공사를 할 것.
2. 적절한 두께( 예; 10mm, 20mm, 30mm 등)의 단열재를 사용할 것. 두꺼울 수록 단열과 결로방지에 유리 함.
3. 제품의 시공방법을 따를 것. |
차폐페인트 (필수) |

|
1. 하부기재 - 시멘트, 내벽방수제, 접착제, 결로방지 단열재에서 불출되는 각종 유해물질과 유해VOC를 차단차폐 하여야 함.
2. 세이프코트 제로VOC 페인트를 적극 권장 함. |
환기장치 (옵션) |

|
1. 욕실 등에는 환기기장지 설치를 강력히 권장 함
2. 지하실 등에도 환기장치 설치가 도움이 됨 |
곰파이 억제게 코팅 (옵션) |

|
1. 모든 곰팡이공사를 하였지만, 습한 공기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장소에 코팅 ( 예; 좁은 구석 )
2. 물리적 곰팡이억제제로 1년에 2~3회 스프레이 코팅을 함. |
제습기사용 (옵션)
|

|
1. 모든 곰팡이예방 공사를 하였지만, 습한 공기가 존재할 위험성이 큰 장소(예; 지하실), 혹은 하절기의 습한 공기(장마철)의 곰팡이 예방용으로 설치, 운용
2. 가동전기 비용이 매우 큼.
|
대안공법 (단열마감재)
|

|
1. 대안공법으로 결로방지와 마감을 동시에 하는 - 예를 들어 "폼블럭" 을 사용할 시에는
2. 마감재 부착직전에 "세이프씨일"을 2회 코팅하여 하부기재로부터 불출되는 각종 유해물질과 유해VOC를 차단차폐 한다.
|
타공법에 대한 견해 ( 방곰팡이 첨가제)
|
 |
1. 방곰팡이 첨가제를 페인트 혹은 도배풀에 섞어서 사용할 경우, 제품에 따라서는 그리고 거주자 체질에 따라서 알러지 발병등을 유발 할 수도 있듬.
2. 과거에는 포믈알데히드로 곰팡이 방지를 하였으나, 현재는 포름알데히드를 사용할 수 없음.
3. 미국 환경청에서는 곰팡이 방지를 위하여 살균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지 아니 함.
|
타공법에 대한 견해 ( 방균페인트 )
|

|
1. 제품에 따라, 거주자 체질에 따라 알러지 발병 등을 유발 할 수도 있음. 2. 방균성능에 대한 페인트 제조사별 제품출시 양태 2.1 전혀 사용하지 아니 함 (예; 세이프코트) 2.2 외부용 페인트에는 사용을 하나 내부용 친환경페인트에는 사용을 하지 아니 함 (예; 외국산 수입페인트) 2.3 방균페인트로 적극 마케팅 함 (예: 일부 국내페인트) 3. 방균페인트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전에 거주자와 알러지 테스트를 하고 신체의 면역력이 높은 거주자에게만 사용함.
|
타공법에 대한 견해 ( 곰팡이 방지 코팅 )
|
사진 |
1. 물리적 방곰팡이 코팅을 문제가 없으나 ( 예; X-158 )
2. 방곰팡이 첨가제 같은 화학적 방균. 방곰팡이 코팅은 부작용이 따를 수 있음.
|
타공법에 대한 견해 ( 결로방지용 페인트 / 퍼티 )
|

|
1. 중공(中空) 마이크로캡슐을 페인트나 혹은 퍼티에 혼합하여 단열효과를 만드는 내장재이나, 단열의 효과가 결로를 예방할 정도로 충분하지는 않음.
2. 그러나 에너지를 절약하는 데는 도움이 됨.
|
미국환경청(EPA)의 곰팡이 관리지침
미국 환경청의 곰팡이 홈페이지를 보면, 첫 문장이 이렇습니다. The Key to Mold Control is Moisture Control ( 곰팡이 관리의 핵심은 습도관리이다) 미국환경청은 습도를 최소한 60%이하로 유지하는 것을 권고하고, 더 이상적으로는 30%~50%로 관리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습도를 관리하기 위하여서;
i) 내부의 물새는 부위을 수리하고, 물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하고 (방수작업),
ii) 결로를 방지하는 단열공사를 하여야 하고 (결로방지작업),
iii) 고습의 공기는, 예를 들어 욕실 등은, 환기를 하여야 한다(환기장치설치).
iv) 그리고 최후의 수단으로 다른 방법이 없을 때는 제습기를 사용하여 습도를 낮추어야 한다.
이것이 기본이고 원칙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곰팡이 방지의 근간이고 근본입니다

곰팡이 관리하는 데 가장 유용하면서 저렴한 도구 ( 시중가 1만원 이하)